본문 바로가기

study/TIL

TIL 1일차(FEB 29일차)

반성은 이제 그만..! Just do it!

어제까지로 반성은 끝내고 오늘부터는 그냥 실천하자.

 

완벽한 기술블로그 만들려고 하지말고(어차피 지금 수준에서는 못 만듦...)

 

매일 공부한 내용 Keyword 중심으로 정리하고 그 중에서 헷갈렸던 부분이나 추가적으로 공부가 필요한 부분, 반복적으로 보고싶은 내용들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TIL은 좀 딱딱할 것 같다. 회고 글 같이 의식의 흐름을 따르는 것이 아닌 간결함을 포인트로 작성하고 싶다. 

 


NEW Keywords

일급객체, 고차함수, 콜백함수

 

이 중에서 콜백함수에 대해

 

개념을 간단히 던져놓아 보자면,

 

call 하는 함수가 있고, 그에 대해 전달인자(argument)로 callback되는 함수가 있다.

 

고차함수(함수를 리턴하거나 함수를 전달인자로 받는 함수) 중에서 함수를 전달인자로 받는 경우 함께 언급되는 개념이겠다.

function train(...funcN) {
  // 함수 train이 일련의 함수들을 전달인자로 받는 상황.
  ... (중략)
}

 

여기서 train 함수가 caller이고 rest문법으로 표기된 전달인자 ...funcN이 callback function이다.

 

Following Kewords

argument (arguments 와 구분할 것!!) - 전달인자 vs parameter // 전달인자와 매개변수의 차이 구글링을 좀 해보았지만 크게 이해되는 바가 없다. 추후에 조금 더 공부해 볼 것.

Review Contents

  • dot notation/bracket notation - 동적인 활용이란?
  • 화살표함수
  • 삼항연산자

삼항연산자의 활용 및 나의 실수포인트

더보기

바꾸면서 return 빼먹지말기

if else 구문을 삼항연산자로 바꾸는 연습을 해봤는데,

function OddWords(words) {
  
  return words.filter(function(w) {
  	//원래는 if 홀수일 경우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이렇게 작성했었는데
 	//아래와 같이 바꾸는 과정에서 앞에 return 적는 것을 빼먹어서 왜 틀렸는지 잠깐 헤멤.
    return w.length % 2 === 1 ? true:false;
    })
}

 

화살표함수

화살표함수에서 this가 어떻고 이런 내용은 추후에 더 공부해보자... 지금은 활용부터 할 수 있도록 습관을 들여보고자 한다. 문제 다시풀기가 귀찮지만 화살표함수 연습 구실로 다시 쳐다보고 눈으로라도 복습하니 좋다.

 

간단한 코드를 짤 때 정말 편하고, reduce,filter,map을 활용할 때 익명함수 사용이 많은데 정말 좋은 것 같다.

return arr.map(function(el){
 return el*2;
})

위와 같이 괄호와 공간차지로 비교적 복잡했던 코드가

return arr.map((el) => el*2)

한줄로 매우 깔끔해졌다.

매개변수가 하나이므로 가장 간소하게 하면 아래와 같다.
return arr.map(el => el*2) //소괄호까지 생략

 

'study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No.17] React_CDD, CSS_in_js  (1) 2023.02.20
[TIL No. 16] 피그마(Figma) 클론  (1) 2023.02.17
[TIL No. 15] 피그마(Figma) 클론 준비  (0) 2023.02.16
TIL No.14 재귀함수의 활용  (0) 2023.02.15
TIL 2일차(FEB 30일차)  (0)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