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2강 내용(Part2. ch4. 1강)
목차
1. 파트 2 복습
#1. 파트 2 복습
더치페이 서비스를 소개하면서 파트 2가 시작되었다. 더치페이 서비스는 여러명이 복잡하게 계산한 상황에서 정산을 위한 서비스이다.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프로젝트 초기 단계, 협업 및 유지보수 등 모든 측면을 신경쓰는 것이 중요하다. 요구사항은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요구사항 작성법을 사용한다. User story에서 시작하여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태스크를 세분화하고 우선순위를 정한다.
태스크 세분화를 위해서는 User story 및 서비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task를 나누어야 한다. 이 때 처음부터 모든 태스크를 만들어내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스크 관리 보드를 만들어 Tag를 잘 활용하고, 태스크 디테일에 충분한 컨텍스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태스크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데,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다가오는 릴리즈에서 집중할 것들과 다가오는 스프린트에서 집중할 것들을 정해야 한다.
task breakdown을 할 때, 태스크 탬플릿을 제공해 주셨는데 개념적으로 조금 더 보완해서 정리한 탬플릿은 다음과 같다.
태스크 템플릿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 제목: 태스크를 간단하게 설명하는 제목
- 설명: 태스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용
- 우선순위: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라벨
- 담당자: 태스크를 담당하는 팀원의 이름 또는 이메일
- 기한: 태스크를 완료해야 하는 기한
- 진행 상태: 태스크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라벨(예: 할 일, 진행 중, 완료 등)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스크 템플릿을 만들어 놓으면 새로운 태스크를 만들 때마다 이 템플릿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태스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저번에 미처 다 작성하지 못한 태스크 세부사항을 이번에 추가로 작성해보았다.
그리고 저번에 완성한 릴리즈 날짜 계산한 것에 QA까지 추가해서 일정을 조금 조정한 것은 다음과 같다.
3월 19일 전에는 강의 파트 4까지 마치고 파트5,6을 그 이후에 공부하면서 개인 프로젝트를 열심히 만들어서 유지보수 과정까지 적용해보고 싶다.
관련링크
패스트캠퍼스 : http://bit.ly/3Y34pE0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수강료0원챌린지 #환급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캠인강후기 #패스트캠퍼스후기 #오공완 #사이드프로젝트10개기술스택으로구현하는풀스택서버리스프로젝트withReact
'study > Challen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llenge / day-18]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 (1) | 2023.03.09 |
---|---|
[Challenge / day-17] 원하는 기능 추가 및 AWS 둘러보기 (5) | 2023.03.08 |
[Challenge / day-15] 릴리즈 날짜 계산하기 (0) | 2023.03.06 |
[Challenge / day-14] 우선순위 정하기 (0) | 2023.03.05 |
[Challenge / day-13] Task breakdown (0) | 202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