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Challenge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Challenge / day-19] 시스템 이론(1-2) Architecture diagram, Sequence diagram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5,26강 내용(Part3. ch1. 2-3강) 목차 1. Architecture diagram 2. Sequence diagram 오늘은 내용이 꽤 많으므로 간략하게 요약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오늘도 필기하면서 시작해보자. #1.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Architecture diagram)이란?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및 의존성을 높은 수준의 레벨에서 가시화 한 다이어그램 각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 하는지,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지 등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내용은 생략하고, 전체적인 맥락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말함. 시스템 전체 구조를 일컫는 용어이다. 간단히 말해 시스템 전체 구조를 짜고 들어가는건데, 온라인에 이런 사이트도 있었다. 이런 사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 [Challenge / day-18]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4강 내용(Part3. ch1. 1강) 목차 1. 시스템, 시스템설계란? 2.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 3. 설계유형 #1. 시스템, 시스템설계란? 시스템에 대한 정의부터 간단하게 해보자. 시스템이라고하면 너무 광범위가 생각될 수 있어서, 웹 개발에 한정해서 시스템의 정의를 알아보자. 웹 개발에서, 시스템은 기능적인 웹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구성 요소(컴포넌트)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모든 구성 요소는 웹 사이트 방문자에게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이렇게 정의해 볼 수 있겠고, 시스템 설계 이러한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아키텍처, 인터페.. [Challenge / day-17] 원하는 기능 추가 및 AWS 둘러보기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3강 내용(Part2. ch4. 2강(ch4. 마지막 강의)) 목차 1. 더치페이 서비스에 원하는 기능 넣어보기 2. AWS 둘러보기 #1. 더치페이 서비스에 원하는 기능 넣어보기 일단, 강사님이 정해준 기능 외에 넣어볼만한 기능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았다. Part 2가 끝나면서 주신 과제이기 때문에 안하는 것은 마음이 불편하고 조금이라도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머리를 쥐어짜보았다. 추가기능 1 일단, 더치페이 서비스라고 듣자마자 처음부터 생각한 것인데 빠른 계산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회식이나 여러명이서 1회성 계산인 경우에 또는 여러 번 계산을 했어도 그냥 단순히 n분의 1이 하고싶고 그룹원의 이름도 특별히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경우 빠른 계산이 있으면 좋겠.. [Challenge / day-16] 파트 복습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2강 내용(Part2. ch4. 1강) 목차 1. 파트 2 복습 #1. 파트 2 복습 더치페이 서비스를 소개하면서 파트 2가 시작되었다. 더치페이 서비스는 여러명이 복잡하게 계산한 상황에서 정산을 위한 서비스이다.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프로젝트 초기 단계, 협업 및 유지보수 등 모든 측면을 신경쓰는 것이 중요하다. 요구사항은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요구사항 작성법을 사용한다. User story에서 시작하여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태스크를 세분화하고 우선순위를 정한다. 태스크 세분화를 위해서는 User story 및 서비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task를 .. [Challenge / day-15] 릴리즈 날짜 계산하기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1강 내용(Part2. ch3. 4강) 목차 1. 릴리즈날짜 계산하기 릴리즈 날짜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상적으로는 UI 디자인, 시스템 설계도, 투입될 인원과 프로젝트에 쏟을 수 있는 시간이 확정되어야 릴리즈 날짜를 제대로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입장에서 그리고 솔로 프로젝트를 현재 진행하는 입장에서 이런 것들을 제대로 알기 어렵고 확정하기 어려워서 전략적으로 특정 날짜를 정해두고 배포를 조금 급하더라도 한 뒤에 작은 버그들을 수습하거나 직감을 활용하여 이쯤이면 프로젝트가 완성될 것이라고 예상해 볼 수 있다. 강사님의 강의와 웹서핑을 통해 또 개념을 한 층 보완해서 정리해보았다. 다음은 릴리즈 날짜 계산의 단계이다. 1단계: 프로젝트 범위 및 목표 정의 .. [Challenge / day-14] 우선순위 정하기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20,21강 내용(Part2. ch3. 3강) 목차 1. 우선순위 정하기 Task breakdown 이후에 할 일은 무엇일까? 우선순위(Priority)를 정함으로써 무엇을 해야 할지 명확해진다. 이번 릴리즈 버젼(v.1.0.0)을 기준으로, 전반적으로 집중해야 할 일과 스프린트에서 집중할 일, 이후에 집중할 일로 나누어져 우선순위가 달라진다. 우리가 앞으로 집중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우선 순위를 정해야한다. 다가오는 릴리즈에서 집중할 것들을 먼저 분류하고, 다가오는 스프린트에서 집중할 것들을 우선순위에 둔다. 더치페이 서비스에서 중요한 일들은 무엇인가? 지금 당장 해야 할 것은 UI design, 그리고 백엔드 설계이다. → High priority 설계 이후의 과제: 설계.. [Challenge / day-13] Task breakdown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18,19강 내용(Part2. ch3. 1-2강) 목차 1. Task breakdown 알아보기 2. Task 상세내용 작성해보기 #1. Task breakdown 의 개념 Task breakdown은 커다란 태스크 또는 프로젝트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하위 태스크로 나누는 프로세스다. 작업을 세분화함으로써,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책임을 할당하고, 빈틈을 뚫고 들어가는 것이 없도록 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이번시간에는 Task breakdown의 이점을 살펴보고, Task breakdown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에 대해 알려주었으며, 워크플로우에서 Task breakdown을 구현하기 위한 팁을 제공받아서 웹서핑을 통해 보완된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Task breakdown의 .. [Challenge / day-12] 디자인 Mock-up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16,17강 내용(Part2. ch2. 1-2강) 목차 1. 디자인 Mock-up tool 소개 2. 디자인 Mock-up tool 다뤄보기 #1. Mock-up이란? 실제 서비스를 만들기 전에 실제와 같이 모형으로 만들어 보는 단계를 말한다. 제품의 기능이나 디자인을 미리 검토해보기 위해서 제작한다. 내가 혼자서 사이드프로젝트를 하는 상황에서 또는 부트캠프 동료와 개발자 두 세명이서 개발을 하는 경우에, 디자인 목업툴을 잘 활용하는 것은 와이어프레임이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스킬이다. 부족한 디자인적 능력을 보완해주고 컴포넌트화 되어있는 것들이 많아서 편하게 가져다 쓸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익혀두면 나중에 디자이너들과 소통하기도 좋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다시 한..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