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5)
[리닥이와친구하기] React-Hook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TIL No.21] Git-commit-convention / Redux 오늘의 주제 git commit convention redux 돌아온 Cmarket with redux 🤨🤨🤨 #1. git commit convention 왜 이제서야 이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지 의문이지만... 이제서라도 관심을 가지고 조그만 과제하나를 할 때라도 신경써서 커밋을 해보고자 한다. 내용에 대해 찾아볼 수 있는 링크는 다양하고, 무엇이 정석이다라고 하기 어려울만큼 컨벤션이라는 것은 어느정도 틀은 있으나 회사에서 또는 프로젝트 내에서 정하기 나름이라고 생각이 된다. 이번에 내가 한 커밋을 통해 가볍게 맛만 보자. 오후 2시쯤에 페어분과 함께 벌써 끝난건가..? 하면서 과제를 제출하고 커밋을 한 번 해놨었다. 이 때 커밋컨벤션을 따라서 해보자 싶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으므로 FEAT라고 t..
[Challenge / day-8] Part1. 마무리 오늘의 공부범위 : (저번이 8-9강이었나보다..?!ㅋㅋ)강의 10강 내용(Part1. ch3. 1강) 목차 1. Part1 마무리 및 복습시간..!! 오늘도 힘내서 시작해보자..!!😄 사이드 프로젝트의 시작..!!! 더치페이를 따라하면서 내 사이드 프로젝트도 시작해보고 싶다..(너무너무 하고싶다..!!!!!!) 사이드 프로젝트 = 기회 사이드 프로젝트는 단순히 자신의 역량을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기술적인 성장을 뿐만 아니라, 협업 측면에서도 많은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주제 정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주제를 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한 스텝으로,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
[Challenge / day-7]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9-10강 내용(Part1. ch2. 5강 - 끝) 목차 1.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2.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적용할 것들 오늘도 필기하며 힘차게 시작..!!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왜 알아야 할까?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근본적인 프로세스이자 프레임 워크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이해하면,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 보수의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팀원들은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이드 프로젝트도 이 개발 주기를 기반으로 진행해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더 좋은 품질..
[Challenge / day-6]프로젝트 관리하는 법 오늘의 공부범위 : 강의 6-8강 내용(Part1. ch2. 2-4강) 프로젝트 관리하는 법을 이론적으로 먼저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 후에는 노션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의 진행단계에 따라 점점 채워가면서 실습해볼텐데 그 틀을 이번에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팀 관리 측면 프로젝트 목표의 명확성 팀원들이 같은 목표를 가지는지 최고의 결과물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 팀원들과 소통의 빈도 나와 다른 의견도 존중하고 받아들일줄 알아야하며,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안된다. 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과정에 최대한 모든 팀원이 동참하도록 함. 동기 부여 여부와 팀원의 참여율에 영향. Blameless retro : 팀원이 실수한 경우, 누가 실수했는지 왜 그랬는지 추궁하지말고 왜 이런..
[Challenge / day-5]프로젝트 관리는 왜 알아야할까? 어떻게 관리할까? 오늘의 강의 범위 5강 : 프로젝트 관리 개발자가 왜 알아야하죠? 6강 : 프로젝트를 잘 관리하기 위한 방법 1 프로젝트 관리의 목적 체계적인 업무의 관리를 통해 프로젝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상태를 모든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공유한다. 프로젝트 계획, 세부 사항, 파일, 피드백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 개발자인데 왜 알아야 할까?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역할 : 개발자 + Project leader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과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 💡 프로젝트 리더라면 당연히 프로젝트를 잘 관리하는 것에 관심이 있어야한다. 프로젝트가 적절한 시기에 출시되기 위해서는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프로젝트 관리 툴을 사용해서 진행사항과 세부 사항을 한 곳에서 관리해야..
[TIL No.20] React Hooks 개요 오늘은 Redux를 배우기 전에 React에서 usestate만 가지고 상태관리를 해서 장바구니 기능 중 일부 기능이 구현되어있지않은 상황에서 기능을 몇 가지 추가해봤다. 상태관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작성해야하지만... 그 내용은 아직 정리하기가 힘들어 리덕스를 배우고 적용해보면서 다뤄보도록 하고 오늘도 실습한 것 위주로 내가 배우고 익힌 포인트들을 정리해보도록 하자. 오늘 구현할 기능 요약 1️⃣ 장바구니에 선택항목 추가 2️⃣ 장바구니에 있는 상품개수 업데이트 3️⃣ 장바구니의 선택항목 삭제 글로는 최대한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해볼텐데... 사실 과제를 하고 옆 그룹에 놀러갔다가 불완전한 기능구현을 발견하고 다시 수정하고 여러 번의 수정이 있었다..🥺 페이지 전환은 react-router-d..
[Challenge / day-4]1인개발 vs 팀개발, 프로젝트 관리는 왜 알아야할까? 4강 : 1인개발 vs 팀 개발 5강 : 개발자가 프로젝트 관리는 왜 알아야할까? 오늘도 열심히 필기하며 공부를 시작해보았다. [4강] 일단, 1인개발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1인 개발의 장점 모든 일들의 직접 담당하고 진행한다. 미팅이 없으므로 일정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하다. 전문성이 부족한 분야가 있는 경우, 필요한 부분만 (ex.디자인) 외주를 통해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1인 개발의 단점 프로젝트의 장기화 - 혼자 모든 일을 하다보니 일정이 길어지고 심적으로 지친다. 체계를 갖추기 어렵다. 프로젝트 관리에 신경쓰지 못하고 구현 자체에 초점을 더 두게 될 수 있다. 피드백을 받기 어려우며, 모든 책임을 혼자 지어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1인 개발의 장단점을 뒤집어 생각하면..